본문 바로가기
중국 드라마 공부/치아문난난적소시광

[중드공부]치아문난난적소시광(致我们暖暖的小时光) 14화 "나 농담한 거야, 진짜로 받아들이지 마!" 중국어로?(동태조사‘过’, 방향보어, 결과보어‘多, 着’, 要, 又, 吧,)

by 뽑아중 2022. 12.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핵심을 뽑아 공부하는 뽑아 중국어입니다!

‘치아문난난적소시광 14화 첫 번째 표현입니다.

중국어 한마디
뽑아 중국어
我开玩笑的,你别当真啊!
중국어 한마디
단어
핵심 단어


☞ 우선 중국어만 보시고 파악해 보세요! 

#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구웨이이한테 쓰투모가 고양이에게 뽀뽀를 해 달라며 장난치는 장면입니다. #

드라마대사1
구웨이
드라마대사2
쓰투모
드라마대사3
쓰투모
드라마대사4
구웨이
드라마대사5
쓰투모
드라마대사6
쓰투모
드라마대사7
쓰투모
드라마대사8
구웨이
드라마대사9
구웨이
드라마대사10
구웨이
드라마대사12
구웨이

☞ 그럼 연결된 대화 같이 볼게요! 

顾未易:我建议你别过来啊!

gù wèi yì:wǒjiànyìnǐbié guòlái a!

구웨이이 : 안 오는 게 좋을 거야!

 

司徒末:过来会怎样?怎样?

sītúmò:guòlái huì zěnyàng? zěnyàng?

쓰토무 : 가면 어쩔 건데? 어쩔 건데?

 

顾未易:我要亲你了!

gù wèi yì:wǒ yào qīn nǐ le!

구웨이이 : 너한테 뽀뽀한다!

 

司徒末:又不是没亲过, 你上次喝醉..., 我... 我开玩笑的, 你... 你别当真啊!

sītúmò:yòu shì méi qīn guo, nǐshàngcìhēzuì..., wǒ... wǒ kāi wánxiào de, nǐ... bié dāngzhēn a!

쓰투모 : 뭐 뽀뽀를 안 해 본 것도 아니고, 너 저번에 술 취했을 때..., 나... 나 농담한 거야, 진짜로 받아들이지 마!

 

顾未易:没有吧...

gù wèi yì:méiyǒu ba.

구웨이이 : 아닌데...

 

顾未易:喝多了, 然后就睡着了, 然后天就亮了呀。

gù wèi yì:hē duō le, ránhòu jiù shuì zháo le, ránhòu tiān jiù liàng le ya.

술을 많이 마셨고, 그리고 바로 잠들었고, 그리고 바로 날이 밝았는데.

 

▶ 핵심 설명

 

过来 [guò lái

(다른 지점에서 말하는 사람 또는 서술의 대상 쪽으로) 오다.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我建议你别过啊!

- 방향 보어는 동사 뒤에 와서 동작의 방향을 보충해 줍니다. 동사 뒤에 ‘’ 혹은 ‘가 오면 (단순)방향 보어 입니다. ‘过(지나다, 거치다, 경과하다)’와 함께 쓰여 누군가가 화자가 말하는 쪽, 즉 주변을 지나며, 혹은 가르며 똑바로 가거나 오는 것을 표현합니다. ‘来’는 '오다'의 뜻으로 어느 장소로 오는 느낌이 강해서, 화자쪽으로 똑바로 오는 느낌은 적기에 화자쪽으로 '이리로 와', '거기로 가'라고 할 때 ‘’동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주어 + 동사 + 来/去 + 목적어

你过nǐ guò lái. 너 이리로 와.

我过wǒ guò qù. 내가 거기로 갈게.

你别过啊!nǐbié guòlái a! 너 이리로 오지 마!

 

会怎样? [huì zěn yàng?

어떻게 될 것인가? 어떻게 될까?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过来会怎样?

- ‘’는 조동사로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추측)’의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뒤에 대명사 ‘怎样(어떠하냐, 어떻게)’을 써서 어떤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것인지의 의문의 뜻을 나타냅니다. 그럼 문장 속에서는 ‘네가 어떻게 할 건데? 어쩔 건데?’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yào

조동사. ~하려고 하다, ~할 거야. (의지)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亲你了!

- ‘’는 조동사로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추측)’의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뒤에 대명사 ‘怎样(어떠하냐, 어떻게)’을 써서 어떤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것인지의 의문의 뜻을 나타냅니다. 그럼 문장 속에서는 ‘네가 어떻게 할 건데? 어쩔 건데?’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주어 + + 동사 + 목적어

见朋友。 wǒ yào jiàn péng you. 나는 친구를 만나려고 한다.(할 거야.)

减肥。 wǒ yào jiǎnféi. 나는 다어이트를 하려고 한다.(할 거야.)

我要亲你了! wǒ yào qīn nǐ le! 너한테 뽀뽀할 거야!

 

不想见朋友。 wǒ bùxiǎng jiàn péng you. 나는 친구를 만나고 싶지 않다.

减肥。 wǒ bù jiǎnféi. 나는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다.(안 할 거야.)

☞ 의지의 부정이기에 단순 부정 ‘’, 혹은 ‘不想(~하고 싶지 않다.)’로 부정하면 됩니다.

 

[yòu

부사. ~도, 또한 ( 모순된 사건·부정문·반어문에 사용하여 어기를 강조, 상황에 따라 해석이 자유로움.)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不是没亲过

- ‘’는 기본적으로 과거 행위의 중복 발생을 뜻하는 ‘또, 다시’의 뜻이 있지만 '모순된 사건이나 상황을 강조'하는 뜻도 있습니다. 이때 해석은 문장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해석이 됩니다. 

不是不了解你。 wǒ yòu shì bù liǎojiě nǐ. 내가 너를 모르는 것도 아니잖아.

怎么样呢? nà yòu zěn me yàng ne? 그래서 어쩌라고?

你们不是情侣。 nǐ men yòu  shì qíng lǚ. 너희들은 연인 아니잖아.

不是没亲过。 yòu shì méi qīn guo. 뽀뽀를 안 해 본것도 아니잖아.

 

[guo] 

동태조사.  ~한 적이 있다.(동사 뒤에 놓여 과거의 경험을 나타냄.)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又不是没亲

- '나는 그 음식을 먹어 본 적이 있다.'처럼 중국어에서도 경험을 나타내는 용법이 있습니다다. 이러한 경험을 나타내는 것을 '경험태'라고 하며, 위치적으로 동사의 뒤에서 동작의 상태를 도와준다고 해서 '동태조사'라고 합니다.

① 긍정문: 주어 + 동사 +  + 목적어

我去中国。 wǒqù guo zhōngguó. 나는 중국에 가 본 적이 있다.

我吃麻辣烫。 wǒchī guo málàtàng. 나는 마라탕을 먹어 본 적이 있다.

你亲我。 qīn guo wo. 너는 나에게 뽀뽀를 한 적이 있다.

 

② 부정문: 주어 + 没(有)+ 동사 + 过 + 목적어

中国。 wǒ méi qù guo zhōngguó. 나는 중국에 가 본 적이 없다.

麻辣烫。 wǒméchī guo málàtàng. 나는 마라탕을 먹어 본 적이 없다.

我。  méi qīn guo wo.  너는 나에게 뽀뽀를 한 적이 없다.

 

 [ba] 

어기조사. 문장 맨 뒤에 와서 추측, 추정의 어조를 나타냄.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没有

他今天不来吧? tā jīntiān bùlái ba? 그는 오늘 안 오지?

他这个时间, 不在家吧? tāzhè ge shíjiān, búzài jiā ba? 그는 이 시간에 집에 없지?

没有吧... méiyǒu ba. 아닌데...

 

[duō

결과보어. 문장의 뒤에 와서 동작의 결과를 보충해 줌.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

- 결과보어 ‘’는 '동작의 진행이 너무 많이 됨', '기본적인 양에 비해 지나침'을 의미합니다.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목적어

我买了。 wǒ mǎi duō le. 나는 (너무) 많이 샀다.

我睡了。 wǒ shuì duō le. 나는 (너무) 많이 잤다.

我吃了。 wǒ chī duō le. 나는 (너무) 많이 먹었다.

我喝了。 wǒ hē duō le. 나는 (너무) 많이 마셨다.

 

 [zháo

결과보어. 문장의 뒤에 와서 동작의 결과를 보충해 줌.

※ 본문 속에서의 해당 문장 ‘

- 결과보어 ‘’는 '동작의 목적 달성', '그 결과를 얻음'을 의미합니다.

주어 + 동사 + 결과보어+ 목적어

我睡了。 wǒ shuì zháo le. 나는 잠이 들었다.('자는 것의 결과'를 얻었다 하여, 나도 모르게 잠이 들음을 의미함.)

我找钱包了。 wǒ zhǎo zháo qián bāo le. 나 지갑을 찾았어.

我借书了。 wǒ jiè zháo shū le. 나 책을 빌렸어.

동태조사 ‘着’는 ‘zhe’라고 읽습니다. 발음에 주의하세요.

 

본문단어
핵심 단어


드라마 소개
웨이브 추천 드라마

여기까지입니다~ 오늘도 중드로 열공!!

반응형